[ Pivot Point ] 이 전략은 다소 정확도는 떨어지나 매매에 앞서 주가의 지지 값과 저항 값을 설정한 후 그 값에 이르렀을 때 기타의 기술적 지표 신호를 필터로 삼아 매매를 행하는 전략으로 이미 널리 알려진 전략 중의 하나이다. 이 전략을 활용하기 이전에 먼저 지지 값과 저항 값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계산 방법은 통상의 Pivot 수치를 구하는 공식과 같다. 한편 구해진 이 지지나 저항 값 부근에서 Stochastics 지표를 사용하여 %K와 %D가 교차되는 신호가 나타나면 바로 매매를 행한다. 매수 주가가 1차지지 값에 근접하고 Slow Stochastics의 값이 20이하에서 %K선이 %D선을 상향 교차하면 매수한다. Stop loss는 매수가격의 2호가 아래로 설정을 한다. 매도 주가가 1차..
[ 7% Plan ] 간단하면서도 위험이 적은 기법중 하나가 바로 7 % plan 전략이다. 이 전략은 많은 이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순히 상승과 하락의 크기를 측정하여 매매하는 기술인데 주가가 상승이나 하락을 시도하면 당분간 같은 추세로 움직이는 것이 통례인데 이를 이용하여 고점과 저점에서 매매하는 전략이다. 매수 차트상 의미 있는 저점을 확인 (20일 최저가를 의미 있는 저점으로 하고 20일 최저가는 20일 최고가 보다 최근에 위치한다.) 만약 주가가 저점으로부터 7%의 상승을 보이면 매수한다. Stop loss는 매수 후 매수한 가격에서 3%의 가격에 매도를 설정한다. 매도 차트상 의미 있는 고점을 확인 (20일 최고가를 의미 있는 고점으로 하고 20일 최고가는 20일 최저가 보다 최근에 위치한..
Outside Day패턴은 일본식 봉차트 분석에서의 Engulfing으로 볼 수 있는데 당일의 거래범위가 전일보다는 상당히 큰 급격한 움직임이 있는 형태로 주로 고점이나 저점을 갱신할 때 자주 나타나곤 한다. Outside Day 단기매매 기법은 고가일수록 유리하며 움직임이 크므로 재빠른 매매가 필요하다. 특히 Outside Day패턴이 나타나면 그 이후 움직임은 폭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 전략은 데이트레이딩에도 사용되고 2-3일의 단기매매에도 유용하다. 매수기법 - 당일 전일의 고가 위에서 거래되어야 한다. 당일 종가가 전일 저가 아래에서 마감되어야 한다. 당일 거래 범위가 이전 5일간 최고 범위이고 당일 주가가 60일간 최저가를 보여야 한다. 익일 당일 저가 보다 반단위호..
Inside Day전략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인사이드데이 패턴은 아주 간단하다. 전일의 고점과 저점안에서 금일의 고점,저점이 형성되는 캔들을 Inside Day라 하는데 이는 일본식 봉차트 분석에서의 Harami를 말한다. 하라미는 기존추세의 멈춤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추세가 급격하게 반전할 시점에서 나타난다기보다 기존 추세가 일단락된 후 향후 움직임을 모색하는 단계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해서 하라미 출현후 바로 직전하락 추세에서 상승반전하지 않고 조정양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쨌든 Inside Day패턴은 장세 흐름의 전환점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패턴 형성이후의 주가 움직임에 따라 적절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매우 단기적인 전략이며 주가가 반전한다거나 추세 약화의 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