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전 설치 과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ws] ec2에 스프링부트 및 jenkins 설치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 - 보안그룹은 나중에 설정할예정으로 패스. - 키페어는 신규로 생성하였음. 2. puttygen을 이용한 ppk키 생성 Load 를 누르고 ec2 인스턴스 생성시 만든 키(.pem)파일을 선택하면
ddoddoing.tistory.com
1. 추가 플러그인 설치하기.
jenkins관리 > 플러그인 관리
- Maven integration, Publish Over SSH, Github Integration 체크 후 설치한다.
2. 포트 변경
- 해당 ec2에 스프링부트와 jenkins 같이 띄울예정임. jenkins가 8080포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처리 함.
- sudo vi /etc/sysconfig/jenkins 을 입력하여 JENKINS_PORT부분을 변경한다.
- sudo service jenkins restart ( 서비스 재시작)
====> 그렇지만 변경안됨..;;
다른방법으로 변경
sudo vi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입력 후 하단 이미지처럼 Environment="JENKINS_PORT=" 부분을 수정한다.
이후 재시작
- sudo service jenkins restart ( 서비스 재시작)
JENKINS 상태확인
sudo service jenkins status
or
sudo systemctl status jenkins
서비스 재시작으로 포트가 변경되지 않아, 종료 후 다시 시작함.
'🐕🦵개발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mCity] docker를 이용하여 TeamCity Agent 설치하기 (0) | 2022.11.28 |
---|---|
[TeamCity] docker를 이용하여 TeamCity Server 설치하기 (0) | 2022.11.25 |
[aws] java 11 설치 (0) | 2022.08.07 |
[aws] ec2에 스프링부트 및 jenkins 설치 (0) | 2022.07.28 |
[centos] 기본명령어 (0)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