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을 하게 되면 로컬pc, 개발서버, 운영서버 별로 환경변수(설정파일)을 다르게 해야 한다. 다를 수 밖에 없다. 로컬개발을 할 때는 로컬에 맞는 설정을 해야하고, 운영서버에 배포할 때는 운영서버에 맞는 환경 설정을 해야 하는데, 개발하면서 매번 수정하면서 진행 할 수 가 없다. #VM arg = -Dspring.profiles.active=dev #개발환경별로 나누기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 #Datasource Configuration spring: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postgresql.Driver hikari: maximum-pool-size: 4 url: jdbc:postgresql://loca..

이전 설치 과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ws] ec2에 스프링부트 및 jenkins 설치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 - 보안그룹은 나중에 설정할예정으로 패스. - 키페어는 신규로 생성하였음. 2. puttygen을 이용한 ppk키 생성 Load 를 누르고 ec2 인스턴스 생성시 만든 키(.pem)파일을 선택하면 ddoddoing.tistory.com 1. 추가 플러그인 설치하기. jenkins관리 > 플러그인 관리 - Maven integration, Publish Over SSH, Github Integration 체크 후 설치한다. 2. 포트 변경 - 해당 ec2에 스프링부트와 jenkins 같이 띄울예정임. jenkins가 8080포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경처리 함. ..

1. aws ec2 인스턴스 생성 - 보안그룹은 나중에 설정할예정으로 패스. - 키페어는 신규로 생성하였음. 2. puttygen을 이용한 ppk키 생성 Load 를 누르고 ec2 인스턴스 생성시 만든 키(.pem)파일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뜸. 확인을 누른 후 save private key를 눌러서 ppk파일을 생성한다. 파일명은 상관없음. 2. 탄력적 ip 할당(고정ip) 3. 탄력적 ip 인스턴스에 연결 4. putty 연결 5. 자바설치 - sudo yum update -y - java -version (버전확인) - yum list java*jdk - sudo yum install -y java-1.8.0-openjdk.x86_64 6. jenkins 설치 - sudo wget -O /..